
저작권 © AFP 2017-2025. 구독 없이 저작물을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 사진은 3월 27일 "정말 정말 자랑스러운 분들입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소셜미디어 플랫폼 스레드에 공유됐다.
사진에는 여러 명의 소방대원들이 지친 모습으로 빗 속에 바닥에 앉아 있는 모습이 담겼다. 소방관들의 모습 뒤로 소방차도 보인다.
다음날 해당 스레드 계정에는 "이 사진 한 장이 모든 것을 말해주네요. 정말 정말 고생하고 계십니다... 끝까지 최선을 다해 주십시오"라는 글귀와 함께 또 다른 소방관 사진 한 장이 게재됐다.
당시 경상북도와 경상남도, 울산 등지에 동시다발적인 산불이 발생해 소방당국은 진화 작업에 총력을 기울였으나 산불은 장기화됐고 피해 규모는 불어났다 (아카이브 링크).
이로 인해 31명이 목숨을 잃는 등 역대 최대 규모의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아카이브 링크).

동일한 사진이 스레드 외에도 엑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여러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유포됐으며 '독자 제공'이라는 설명과 함께 언론 보도에도 사용됐다.
그러나 해당 사진 속 소방관들과 소방차의 모습은 실제 경북 산불 현장에서 촬영된 사진과 비교했을 때 많은 차이를 보인다.
시각적 왜곡현상
AFP 사진기자들이 3월 25일과 27일 경북 의성과 안동에서 촬영한 사진들 중 소방대원들의 옷과 신발, 소방차의 디테일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들을 문제 사진과 비교해 보니 다른 부분이 많이 발견됐다.

미국 버팔로대학교 산하 미디어포렌식 연구소의 류 시웨이(Lyu Siwei) 소장은 4월 4일 AFP에 "두 이미지 모두 AI 생성으로 인한 뚜렷한 시각적 인공물을 포함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아카이브 링크).
류 교수는 첫 번째 사진의 경우 소방대원들과 소방차의 형태가 일그러져 "현실적 디테일이 부족"하며 두 번째 사진에는 소방대원 손 옆에 "손이 하나 더 있다"라고 지적했다.

AI 생성 및 조작 여부를 판별하는 도구인 '하이브'(Hive)는 문제 사진들에 대해 두 장 모두 AI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했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