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진은 2006년 촬영된 사진에 젤렌스키 대통령의 모습을 합성한 것이다

사진 한 장이 1991년 뉴욕에서 열린 퀴어 축제에 참석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모습이라는 주장과 함께 소셜미디어상에서 반복적으로 공유됐다. 하지만 이 사진은 조작된 것이다. 해당 사진의 원본은 2006년 이미지 공유 웹사이트 플리커에 게시된 것으로, 이 사진에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등장하지 않는다.

문제의 사진은 2022년 9월 25일 "1991년 뉴욕시에 나타났던 젤렌스키"라는 글귀와 함께 페이스북에 공유됐다.

사진에는 퀴어 축제로 보이는 현장에 참석한 다수 남성의 모습이 등장하는데, 사진 속 젤렌스키 대통령으로 보이는 남성의 얼굴은 붉은색으로 표시됐다.

Image
문제의 주장이 공유된 페이스북 게시글 스크린샷. 2022년 9월 26일 캡쳐.

동일한 사진이 유사한 주장과 함께 페이스북 여기여기에도 공유됐다.

이 사진은 미국, 이탈리아, 그리스 등 해외 소셜미디어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공유됐다.

하지만 이 사진은 조작된 것으로, 원본 사진에 등장하는 세 인물의 얼굴을 삭제한 뒤 그 자리에 젤렌스키 대통령과 다른 인물들의 모습을 합성한 것이다.

구글 역 이미지 검색을 통해 조작된 사진의 원본이 2006년 온라인 사진 관리 및 공유 웹사이트 플리커에 게시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조작된 사진(좌)과 플리커에 게시된 원본 사진(우)을 비교한 것이다. 조작된 사진 속 젤렌스키 대통령의 얼굴은 초록색으로 표시했다.

Image
페이스북 게시글 스크린샷. 2022년 9월 19일 캡쳐.
Image
플리커에 게시된 원본 사진 스크린샷. ( Flickr / Thomas Locke Hobbs)

 

 

한편 온라인 얼굴 인식 도구 PimEyes를 통해 조작된 사진 속 젤렌스키 대통령의 얼굴이 다른 사진에 등장하는 그의 모습과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mage
PimEyes 스크린샷. 2022년 9월 22일 캡쳐.

PimEyes에 따르면 조작된 사진 속 젤렌스키 대통령의 우측에 서 있는 인물은 올레크시 아레스토비치(Oleksiy Arestovych)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비서실장, 후방에 등장하는 인물은 페트로 포로셴코(Petro Poroshenko) 우크라이나 전 대통령의 모습과 일치한다.

AFP는 조작된 사진 속 에레스토비치 비서실장과 포로셴코 전 대통령과 일치하는 인물들의 모습을 각각 노란색과 파란색으로 표시했다.

Image
PimEyes 스크린샷. 2022년 9월 22일 캡쳐.
Image
PimEyes 스크린샷. 2022년 9월 22일 캡쳐.

 

 

원본 사진

플리커에 게시된 사진 설명에 따르면 이 원본 사진은 토마스 로크 홉스(Thomas Locke Hobbs)라는 미국 사진작가가 2006년 6월 25일 뉴욕 게이 프라이드 축제 현장에서 촬영한 것이다.

홉스 작가는 AFP와 서면 인터뷰를 통해 자신이 원본 사진을 촬영했다고 밝혔다.

사진에 수록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통해서도 이 사진이 2006년 6월 25일 촬영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글 지도의 거리 뷰 기능을 통해 사진 속 장소와 일치하는 곳을 아래의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사진은 홉스가 플리커에 게시한 "2006년 게이 프라이드(2006 Gay Pride)"라는 제목의 사진첩에 포함됐는데, 해당 사진첩은 이 사진과 유사한 여러 장의 사진으로 구성됐다.

홉스 작가는 이 사진들 속에 등장하는 인물 중 "out"이라는 문구가 새겨진 군모를 쓴 인물인 제시 아처(Jesse Archer)를 AFP 측에게 소개했는데, 아처 역시 페이스북에 공유된 사진은 조작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처는 2022년 9월 19일 AFP와 서면 인터뷰를 통해 "우리는 매년 새로운 주제를 선정해 프라이드 축제에 참여했는데, 2006년 당시에는 이라크 전쟁과 미군의 '돈 애스크 돈 텔' 정책을 비판하기 위해 군복을 연상시키는 복장을 하고 축제에 참여한 것"이라고 말했다.

"돈 애스크 돈 텔" (Don't Ask, Don't Tell; DADT) 정책은 미국이 과거 시행한 군인 관련 정책으로, 성소수자가 성적 지향을 공개하지 않으면 미군 복무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였다. 해당 제도는 2010년 오바마 정부에 의해 폐지됐다.

아처는 이어 원본 사진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들을 밝히며 그와 함께 2006년 퀴어 축제에 참석했던 일행 중 젤렌스키 대통령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과거에도 젤렌스키 대통령과 관련된 허위 사실들이 소셜미디어상에서 여러 차례 공유됐는데, AFP는 취재를 통해 이 주장들이 사실이 아님을 검증한 바 있다. 해당 기사는 여기여기에서 확인 가능하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