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tain's King Charles III (seated) signs an oath to uphold the security of the Church of Scotland, as Prince William (C) and Camilla, Queen Consort (R) look on, during a meeting of the Accession Council inside St James's Palace in London on September 10, 2022 ( POOL / AFP / Victoria Jones)

찰스 3세 英 국왕, 트럼프 전 대통령의 2020 美 대선 승리 선언했다? 즉위 선언문 서명 장면에 기반한 허위 사실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문서에 서명하는 모습이 담긴 사진 한 장이 소셜미디어상에서 반복적으로 공유됐다. 이 사진에는 해당 문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을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정당한 승자로 인정하며, 바이든 대통령이 백악관을 떠나지 않을 경우 영국이 미국에 전쟁을 선포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주장이 붙었다. 하지만 이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해당 사진은 찰스 3세 국왕의 즉위식 당시 촬영된 것으로, 사진 속 찰스 국왕이 서명하는 문서에는 스코틀랜드 교회를 보전하겠다는 맹세가 담겼다.

문제의 사진은 2022년 9월 11일 페이스북에 공유됐다.

다음은 문제의 주장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취임 직후 2020년 11월에 있었던 미국 대선이 '트럼프가 승리했으며 법에 따라 정당한 대통 령이다'라는 문서에 공식 서명함으로써 엘리자베스 여왕의 사망 이후 트럼프 Q진영의 화이트햇 작전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 문서를 통해 찰스 3세는 불법 대통령 바이든과 카마라 해리스에게 '48시간 이내에 건물을 비우라!'고 경고하고 그렇지 않으면 미국과 영국 사이에 전쟁이 발생할 것임을 경고했다고 한다."

주장과 함께 공유된 사진에는 찰스 3세 국왕이 문서에 서명하는 모습이 담겼는데, 사진 하단에는 "찰스 국왕, 2020 미 대선 트럼프 승리 서명"이라는 문구가 등장한다.

Image
문제의 주장이 공유된 페이스북 게시글 스크린샷. 2022년 9월 20일 캡쳐.

동일한 이미지와 유사한 주장이 페이스북 여기, 여기, 여기에도 공유됐다.

유사한 내용이 큐아논(QAnon) 음모론 콘텐츠가 공유되는 미국의 텔레그램 채널과 한국의 온라인 매체 유엔뉴스의 기사에도 공유됐다.

큐아논은 인터넷 커뮤니티 4chan에서 유래한 음모론으로, 이 음모론 안에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혼재돼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딥스테이트(deep state)라고 칭하는 비밀 조직이 미국과 세계의 경제, 정치, 통치권을 장악하고 국가 전복을 노리고 있다는 음모론이다.

유엔뉴스는 국제연합(UN)과는 무관한 코로나19와 관련된 허위 정보 및 각종 음모론을 온라인상에 퍼뜨리는 웹사이트다.

엘리자베스 2세 전 영국 국왕이 스코틀랜드의 밸모럴궁에서 96세로 서거함에 따라 아들인 찰스 왕세자가 2022년 9월 10일 찰스 3세로 영국 왕위를 승계했다.

하지만 찰스 3세 국왕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을 인정하는 문서에 서명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구글 역 이미지 검색을 통해 해당 이미지가 2022년 9월 10일 런던 세인트제임스궁에서 열린 찰스 3세 국왕의 즉위식을 생중계한 영상의 한 장면과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당 장면에서 찰스 3세 국왕이 서명한 문서에는 스코틀랜드 교회를 보전하겠다는 맹세가 담겼다.

이와 별개로 찰스 3세 국왕이 트럼프 전 대통령을 2020년 대선의 승자로 인정했다거나 미국에 전쟁을 선포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신뢰할만한 발표나 보도 등은 찾을 수 없었다.

미국 연방선거관리위원회가 공식 발표한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약 8천127만 표를 얻은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7천422만 표를 얻었다. 미국 대통령 선거의 승자를 결정하는 선거인단 투표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306명을 확보해 232명을 얻은 트럼프 전 대통령에 승리했다.

과거에도 미국 대통령 선거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사망과 관련된 허위 사실들이 소셜미디어상에서 여러 차례 공유됐는데, AFP는 취재를 통해 이 주장들이 사실이 아님을 검증한 바 있다. 해당 기사들은 여기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