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갑·전자발찌 차고 안과 진료받는 尹 사진... AI로 만든 가짜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경기도 안양시 한 병원에서 두 차례 진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 후, 윤 전 대통령으로 보이는 한 남성이 수갑과 전자발찌를 착용한 채 안과 진료를 받고 있는 모습이 담긴 사진이 소셜미디어상에 반복적으로 공유됐다. 그러나 이 사진은 인공지능(AI)으로 생성됐다. 해당 사진은 AI 생성·합성 콘텐츠 경고가 붙은 유튜브 영상의 한 장면과 일치하며 사진에서는 AI가 사용된 흔적이 확인됐다.

문제 사진은 8월 18일 소셜미디어 플랫폼 엑스에 공유됐다. 

사진에는 한 남성이 수갑을 낀 채 안과 진료를 받고 있는 모습이 담겼고,  그 위로 전자발찌 클로즈업 사진이 합성되어 있다. 

작성자는 "수갑을 이렇게 촬영하는데 수건으로도 가리지 않았나?"라며 "전직 대통령 수갑 찬 모습을 이렇게 적나라하게 보여도 되는 건가?"라고 적었다.  

행정규칙 "체포 호송 등 장비 사용에 관한 지침"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수갑 착용 모습이 일반 대중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아카이브 링크).

Image
엑스에 공유된 문제 사진 스크린샷. 2025년 8월 22일 캡처 후 엑스(X) 표시 추가.

지난달 말 윤 전 대통령의 법률대리인단은 입장문을 통해 "모 대학병원의 진단에 의하면 윤 전 대통령은 주기적으로 안과 시술을 받고 있었으나 석 달째 시술을 받지 못하면서 실명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의료기관에서 안과 협진으로 8월 내 시술이 예정되어 있어 이를 위한 외부진료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아카이브 링크).

그 이후 방송사 MBN은 윤 전 대통령이  8월 초 구치소에서 입는 파란색 미결 수용복을 입고 휠체어를 탄 채 경기도 안양시에 있는 한림대병원에서 안과 진료를 받았다고 보도하면서 병원 방문 당시 포착된 윤 전 대통령 영상을 공개했다 (아카이브 링크).

영상 속 윤 전 대통령은 마스크로 얼굴을 가렸고 무릎에는 담요를 덮었다. 수갑과 전자발찌는 영상에 노출되지 않았다. 

해당 보도 후 법무부는 윤 전 대통령이 한림대성심병원에서 두 차례 안과 진료를 받았으며 외부 진료를 위해 출정 시 수갑 등 조치를 취하는 것은 관계법령 등에 규정된 통상의 조치라고 설명했다 (아카이브 링크).

그러나 일각에서 제기된 실명 위기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수용자에게 허용되는 범위에서 필요한 의료처우를 모두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 사진은 마치 병원 진료 당시 촬영된 윤 전 대통령의 실제 사진인 것처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엑스 등에 공유됐다. 

그러나 해당 사진은 AI로 생성됐다. 

'합성된 콘텐츠'

구글 역 이미지 검색 결과, 문제 사진이 6월 16일 유튜브 '정치장군' 계정에 게재된 영상의 한 장면과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카이브 링크). 

해당 영상에는 "동영상에 유의미하게 변경되었거나 합성된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라벨이 붙어있었다. 

유튜브 설명에 따르면 이 라벨은 영상 제작자가 "실제와 분간이 어려울 정도로 유의미하게 변경되었거나 합성된 콘텐츠를 사용"했다고 밝힌 경우,  유튜브 생성형 AI 도구가 사용된 경우,  또는 전체 영상이 AI로 제작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 표시된다 (아카이브 링크). 

Image
유튜브 영상 스크린샷. '합성된 콘텐츠' 라벨 빨간색으로 표시.

이 외에도 문제 사진에서 AI 사용 흔적이 확인됐다.

문제 사진 속 윤 전 대통령이라고 주장된 남성은 검사장비를 기준으로 환자 쪽이 아닌 의사가 앉는 쪽에 앉아 있다. 

귀 모양도 AFP 사진기자가 촬영한 윤 전 대통령 사진과 비교해 보면 확실히 다른 것을 확인 수 있다.

Image
문제 사진(좌)과 AFP 사진(우) 비교

별도의 역 이미지 검색을 통해 전자발찌 사진은 2019년 7월 연합뉴스 영상의 한 장면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아카이브 링크).

Image
문제 사진(좌)과 2019년 7월 13일 자 연합뉴스 영상(우) 비교

연합뉴스가 촬영한 해당 전자발찌 영상과 사진은 성범죄자 처벌 관련 언론보도에 자주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아카이브 링크  여기, 여기여기).

법무부 관계자는 문제 사진이 AI로 생성된 가상 이미지이며 윤 전 대통령 수감 이후 사진이 공개된 바 없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 구속 관련 허위 주장을 검증한 AFP 기사는 여기에서 볼 수 있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