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 AFP 2017-2025. 구독 없이 저작물을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의 주장은 "선거 연수원 체포 중국인 99명 주일미군기지 압송"이라는 글귀와 함께 2025년 1월 16일 인스타그램에 공유됐다.
영상에는 아래와 같은 자막과 내레이션이 나오는데, 이 부분에서 얼굴이 모자이크 처리된 남성 여러 명이 보이는 사진 세 장이 화면에 차례로 등장한다.
"16일 미군 정보 소식통에 따르면 12·3 비상계엄 당일 우리 계엄군은 미군과 공동작전으로 선거연수원을 급습해 중국 국적자 99명의 신병을 확보했으며 검거된 이들은 미군 측에 인계했습니다."
"사안에 정통한 미군 소식통은 체포된 중국인 간첩들(Chinese spies)은 모두 99명이며 평택항을 거쳐 일본 오키나와 미군기지로 이송됐다고 본지에 확인했습니다."
이어서 체포된 간첩들이 주일미군 기지에서 진행된 미군의 심문 과정에서 선거 개입을 자백했다는 내용도 나온다.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재확산된 부정선거 음모론을 기반으로 그 배후에는 중국 정부가 있다는 취지의 주장이 주를 이뤘다.
이 영상은 이날 스카이데일리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처음 공유됐는데, 문제 사진이 나오는 부분은 이후 영상에서 편집돼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누적 조회수는 10만 회를 넘겼다.
영상과 같은 내용을 실은 기사도 이날 해당 매체 웹사이트에 게재됐다.
이 기사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에서도 언급됐다. 지난 1월 16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2차 변론에서 윤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 배진한 변호사는 "그게 팩트이든 아니든 그런 정도의 의혹이 발생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도 부정선거 의혹을 직접 언급한 바 있는데,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1월 15일 페이스북에 공개된 자필 편지에서 윤 대통령은 "우리나라 선거에서 부정선거의 증거는 너무나 많다"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선관위의 엉터리 시스템도 다 드러났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작년 12월 12일 대국민 담화에서도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023년 하반기에 "북한의 해킹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헌법기관인 선관위는 사실상 강제수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계엄군을 보내 "선관위 전산시스템 점검"을 하고자 했다고 피력했다 (아카이브 링크).
선관위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윤 대통령의 주장에 반박하며 "북한 해킹으로 인한 선거 시스템 침해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아카이브 링크).
문제 사진과 주장은 유튜브, 스레드, 브런치, 일간베스트 등에도 공유됐다.
게시글에 달린 댓글을 통해 일부 이용자들이 이를 사실로 오인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 이용자는 "이 뉴스가 거짓이라면 민주당에서 고발할 것인데 못하는 것 보니 진실인 것 같습니다"라고 남겼고 또 다른 이용자는 "중국과 단교해야지요. 우리나라 근간을 흔들었음. 내정간섭, 체재를 무너트린 중대한 범죄임"이라고 썼다.
"부정선거 꼭 밝혀야 한다 이렇게 드러나고 있는데 이런 것을 보고도 안 밝히면 안 되지", "중국인이 왜 선관위 연수원에 있을까 철저하게 조사를 바랍니다" 등의 댓글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2016년 사진
구글, 네이버 역 이미지 및 키워드 검색을 통해 문제 사진이 국내 통신사들이 2016년 10월과 11월에 게재한 사진과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뉴스1은 2016년 10월 12일 "체포된 불법조업 중국선원들"이라는 제목으로 첫 번째 사진을 게재했다 (아카이브 링크).
사진에는 "서해 특정금지구역을 침범해 불법 조업한 중국선원들이 12일 오후 인천 중구 인천해경 전용부두로 압송되고 있다"라는 설명이 붙었다. 뉴스1은 전날 밤 100톤급 중국어선 2척이 불법조업 혐의로 나포됐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는 같은 날 "백령도 인근 해상에서 불법조업을 하다가 해경에 붙잡힌 중국어선 선원들이 12일 오후 인천시 중구 인천해양경비안전서 전용부두로 들어와 검역을 받고 있다"라는 설명과 함께 두 번째 사진을 게재했다 (아카이브 링크).
세 번째 사진은 2016년 11월 2일 뉴스1이 게재했는데 사진에는 불법조업을 한 혐의로 체포된 중국어선 선원들이 체포돼 들어오는 모습이라는 설명이 붙었다 (아카이브 링크).
앞서 2016년 10월 중국 어선이 불법조업을 단속 중이던 해경 고속단정을 들이받아 침몰시킨 사건 이후 해경은 불법조업 어선들에 대한 강경 대응을 경고했다 (아카이브 링크 여기, 여기).
오보
주한미군사령부 관계자는 1월 20일 AFP에 스카이데일리 기사에 포함된 주장들은 "완전히 거짓"이라고 밝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변인 역시 1월 17일 AFP에 해당 언론보도 내용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계엄 당일 선거연수원에는 교육 과정에 참여한 선관위 직원 88명과 외부강사 여덟 명이 숙박 중이었고 전원 내국인이었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이 같은 입장을 공식 웹사이트에도 게재했다 (아카이브 링크).
이외에도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된 여러 허위주장이 소셜미디어상에 유포됐는데 AFP는 취재를 통해 이들 주장을 검증한 바 있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