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사진, 尹탄핵 집회서 촬영된 '전국 집에 누워있기 연합’ 깃발

윤석열 대통령 탄핵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구속을 촉구하는 문구가 쓰인 깃발을 촬영한 것으로 보이는 사진이 소셜미디어상에 반복적으로 공유됐다. 그러나 이는 조작된 사진이다. 원본 사진 속 깃발에는 '전국 집에 누워있기 연합'이라는 문구가 담겼으며 이 사진은 12월 7일 윤 대통령 탄핵 집회에서 촬영됐다.

문제의 사진은 12월 15일 "표현은 거칠지만 국민들의 다음 과제는 이게 맞습니다. 우리나라 국민들과 사법 시스템은 이렇게 할 것입니다"라는 글귀와 함께 페이스북에 공유됐다.

사진에는 "내란수괴윤두창탄핵, 전과4범찢재명구속"이라는 문구가 쓰인 깃발을 든 집회 참가자의 모습이 담겼다.

Image
문제 사진이 공유된 페이스북 게시글 스크린샷. 2024년 12월 19일 캡처.

탄핵소추안이 지난 1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취임 2년 7개월 만에 국가수반으로서 직무가 정지된 윤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과 내란 혐의 피의자로서 수사를 받게 됐다 (아카이브 링크 여기, 여기).

조기 대선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2022년 대선에서 1퍼센트 포인트도 안 되는 역대 대선 최소 득표차로 윤 당시 후보에 패했던 이재명 대표는 유력 차기 대권 후보로 부상했다. 

이 대표는 지난 총선 당시 선거법에 따라 벌금 100만 원 이상 형이 확정된 전과기록 3건을 공개했다. 2003년 무고 공무원자격사칭(벌금 150만 원), 2004년 음주운전(벌금 150만 원), 공용물건손상 특수공무집행방해(벌금 500만 원)이다 (아카이브 링크 여기, 여기).

이 외에 2010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50만 원 벌금형을 선고받은 바 있으며, 올해 11월 별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심에서 집행유예를 받았다. 만약 1심 판결이 대법원에서 확정될 경우 국회의원직을 상실하고 향후 5년간 피선거권이 박탈돼 다음 대선에 출마할 수 없다 (아카이브 링크).  

윤 대통령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진행된 대규모 탄핵 촉구·반대 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은 각각 "내란수괴 윤석열 탄핵", "이재명 구속"을 외쳤다. 그러나 어느 한쪽 진영의 집회에 윤 대통령과 이 대표 모두를 비판하는 구호나 깃발이 등장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문제 사진은 소셜미디어 플랫폼 엑스와 온라인 커뮤니티 아카라이브, 디시인사이드, 에펨코리아 등에도 공유됐다.

게시글에 달린 댓글을 통해 일부 이용자들이 이를 실제 사진으로 오인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 이용자는 "이 무슨 모순적인 인식인지 모르겠다"라며 "가장 나쁜자들이 바로 윤석열 탄핵하고 이재명도 때려잡자는 인간들"이라고 남겼다.

"완전무결은 아니더라도 평균 수준이라도 되는 사람들이 나오면 좋겠네요"라고 쓴 댓글도 보였다.

그러나 문제 사진은 조작됐다.

'전국 집에 누워있기 연합’ 깃발

구글 역 이미지 검색을 통해 원본사진은 12월 7일부터 온라인상에 유포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카이브 링크).

원본사진 속 깃발에는 "전국 집에 누워있기 연합. 제발 그냥 누워있게 해줘라. 우리가 집에서 나와서 일어나야겠냐"라는 문구가 쓰여있다.

전통적인 시위 현장에서는 볼 수 없었던 기발한 문구에 언론도 관심을 보였는데, 경향신문은 12월 7일 자 기사에서 이번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시민·사회·노동운동이 보인 치열함과는 거리가 있던 일반 시민들이 평범한 문구의 깃발을 들고 나선 것"이라며 "일반 시민들이 용기 있게 나섰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문구"라고 보도했다 (아카이브 링크 여기, 여기). 

오마이뉴스는 해당 깃발을 제작한 대학생 지승호 씨를 인터뷰했는데, 해당 인터뷰에서 그는 "특별한 약속이 없으면 늘 누워있거든요. 이렇게 평소 누워있던 나를 집 밖으로 나오게 한 상황에 대한 분노를 담아 '전국 집에 누워있기 연합'으로 이름을 정했어요"라고 설명했다 (아카이브 링크).   

지 씨는 이어 "미래의 내가 떳떳하게 누워있기 위해 연대의 마음으로 깃발을 만들었다"라며 지난 7일부터 매일 이 깃발을 들고 집회에 참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은 조작된 사진(좌)과 경향신문 기사에 인용된 사진(우)을 비교한 것이다. 

Image
조작된 사진(좌)과 경향신문 보도에 인용된 사진(우) 비교

이외에도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된 여러 허위주장이 소셜미디어상에 유포됐는데 AFP는 취재를 통해 이들 주장을 검증한 바 있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