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N, 폭격 당한 우크라이나 호텔 보도에 세르비아 소재 호텔 사진 인용했다? 방송사 측, '사실무근'
- 이 기사는 작성된 지 1 년이 지났습니다
- 입력 월요일 2022/03/31 10:33
- 3 분 읽기
- SHIM Kyu-Seok, AFP 한국
저작권 © AFP 2017-2025. 구독 없이 저작물을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의 주장은 2022년 3월 22일 페이스북에 공유됐다.

다음은 해당 페이스북 게시글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CNN 의 기자들이 묵던 우크라이나의 한 호텔이 러시아군에 의해 무자비하게 포격을 당했다고 CNN에서 게시물을 올렸는데요.. 알고보니 건설이 중지되어투자자를 구하고 있는 한 세르비아의 호텔 건설현장이었다고 합니다. 주류 언론을 아직도 믿으십니까?"
해당 게시글에 공유된 스크린샷에는 CNN Breaking News의 로고와 "이것은 러시아 폭격기의 공습을 당한 유명한 우크라이나 리조트 호텔 '평화'의 잔해다. #우크라이나와 함께"라는 영어 트윗이 담겨있다.
스크린샷의 상단에는 "마직 마지콘스키(Majk Majkonski)"라는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도 삽입돼 있다.
동일한 스크린샷과 유사한 주장이 페이스북 여기, 여기, 여기에도 공유됐다.
하지만 이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맷 도닉(Matt Dornic) CNN 대변인은 2022년 3월 23일 AFP와 서면 인터뷰를 통해 문제의 트윗 사진은 조작된 것이며 CNN은 해당 트윗을 게시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도닉 대변인은 "CNN은 현재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페이스북에 공유된] 해당 사진과 관련 소식을 보도한 적이 없다"라고 말했다.
2022년 3월 29일 기준, CNN Breaking News의 공식 트위터 계정에 해당 사진과 설명이 담긴 트윗은 존재하지 않는다. CNN이 온라인상에 게시한 기사 목록에서도 우크라이나에서 CNN 기자들이 머물던 호텔이 폭격을 당했다는 내용의 보도는 찾을 수 없었다.
한편 키워드 검색을 통해 "마직 마지콘스키 (Majk Majkonski)"라는 사용자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 계정에도 해당 스크린샷을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세르비아 탐사보도 웹사이트 라스크리카반제(Raskrikavanje)는 3월 7일 마지콘스키가 운영하던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동일한 가짜 트위터 게시글을 찾을 수 있었다고 보도했다. 해당 인스타그램 계정은 현재 삭제된 상태다.
라스크리카반제는 마지콘스키가 공유한 게시글들의 스크린샷을 인용하며 그가 가짜 CNN 트윗 등 풍자를 목적으로 제작된 게시글들을 주기적으로 공유했다고 전했다.
호텔 미르
구글 역 이미지 검색을 통해 조작된 트위터 스크린샷 속에 담긴 사진과 일치하는 사진을 세르비아어로 된 한 온라인 게시글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 게시글은 2010년 4월 22일 공유됐다.
이 게시글에는 해당 건물이 세르비아 동부의 휴양지 즈본나챠 반자(Zvonačka Banja) 스파 인근에 위치한 "미르" 호텔이라는 설명이 담겼다. 미르(мир)는 세르비아어,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등 여러 슬라브계 언어에서 "평화"를 뜻하는 말이다.
이 게시글에 따르면 해당 호텔을 인수한 사람이 호텔 보수 공사를 계획함에 따라 호텔 내부의 가구와 구조물들이 모두 철거됐다.
다음은 조작된 트윗에 인용된 사진(좌)과 세르비아어 온라인 게시글에 공유된 원본 사진(우)을 비교한 것이다.

구글 거리 뷰를 통해서도 이 호텔이 세르비아에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세르비아 현지 언론 보도 여기와 여기에도 이 호텔을 촬영한 사진이 실렸는데, 호텔이 관리되지 않은 채로 수년간 방치돼 있었다는 내용도 담겼다.
구글 검색을 통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도 "미르"라는 명칭을 가진 호텔을 찾을 수 있었지만, 이 호텔의 외관은 조작된 CNN 트윗에 담긴 건물의 모습과 상이한것을 알 수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CNN이 전쟁에 관련된 허위 사실을 보도했다는 주장들이 소셜미디어상에 여러 차례 공유됐는데, AFP는 취재를 통해 이 주장들이 사실이 아님을 검증한 바 있다. 해당 기사는 여기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