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의 여신상이 눈가리개를 하지 않은 나라는 한국뿐이다? 나라마다 외형 달라… 눈가리개 없는 여신상도 일반적
- 이 기사는 작성된 지 1 년이 지났습니다
- 입력 월요일 2020/12/31 02:25
- 수정 2020/12/31 02:40
- 1 분 읽기
- Richard KANG, AFP 한국
저작권 © AFP 2017-2025. 구독 없이 저작물을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주장은 2020년 12월 24일 페이스북에 총 다섯 장의 사진과 함께 공유됐다.
사진들은 법을 대표하는 상징물인 정의의 여신상들의 모습을 담고 있는데 상단 4장의 사진 속 여신상들은 가리개로 눈을 가리고 있는 반면 하단 마지막 사진 속 여신상은 눈가리개를 하고 있지 않은 모습이다.

문제의 주장을 담은 페이스북 게시글의 스크린샷. 2020년 12월 24일 캡쳐
다음은 해당 주장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여신상 비교.
“다른 나라 정의의 여신상은 선입견을 갖지 않기 위해 눈을 가리고… 울 나라 정의의 여신은 상대를 보고 자신에게 이익을 가져올 사람인지 가늠하기 위해 눈을 가리지 않았다고.”
같은 주장이 페이스북 여기, 여기 그리고 다음 여기, 여기에 공유됐다.
이는 사실을 오도하는 주장이다.
해당 주장과 함께 공유된 사진 속 눈을 가리지 않은 동상은 대법원에 위치해있는 정의의 여신상으로 페이스북 주장과 같이 눈가리개를 하지 않은 모습이다.
하지만 AFP의 확인 결과 눈가리개를 하지 않은 정의의 여신상을 여러 국가에서 찾을 수 있었다.
한 예로, 호주 퀸즐랜드 대법원에 위치한 정의의 여신상은 눈가리개를 하지 않고 있다.

퀸즈랜드 대법원 홈페이지 스크린샷. 2020년 12월 28일 캡쳐
눈을 가리지 않은 정의의 여신상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대법원, 영국 런던의 중앙형사재판소에서도 찾을 수 있었다.

헝가리 법원 웹사이트 스크린샷 (좌) AFP 사진 (우). 2020년 12월 28일, 29일 캡쳐
한편 학자들에 따르면 고대 정의의 여신상 역시 눈가리개를 하지 않은 모습이었다.
미국 워싱턴 대학교의 법학 전문 도서관은 이 자료를 통해 “정의의 여신의 기원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그녀를 '마앗'으로, 고대 그리스인들은 ‘테미스’라고 불렀다”라며 “당시 테미스는 눈을 가리지 않은 모습이었는데 이는 테미스가 예언의 능력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미국 대법원 역시 정의의 여신상 눈가리개의 기원이 불분명하다고 말한다.
다음은 미국 대법원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16세기엔 정의의 여신상들이 일반적으로 눈가리개를 한 모습이었다. 눈가리개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사법제도 속 법의 남용에 대한 관용이나 무지를 나타내기 위해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