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상은 화산 분화 교육용 시뮬레이션으로 통가 화산 폭발과 무관하다
- 이 기사는 작성된 지 1 년이 지났습니다
- 입력 월요일 2022/02/14 06:47
- 수정 2022/02/15 03:10
- 2 분 읽기
- AFP 홍콩
- 번역 및 수정 SHIM Kyu-Seok
저작권 © AFP 2017-2025. 구독 없이 저작물을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의 영상은 2022년 1월 31일 "#통가해저화산폭발#자연의섭리속 화산폭발#영화장면착각 화산폭발"이라는 글귀와 함께 페이스북에 공유됐다.
2분 18초 분량의 이 영상에는 해저화산이 폭발하며 화산재와 연기를 뿜어내는 모습이 담겨있다. 영상의 상단에는 "통가 해저화산폭발"이라는 문구가 삽입돼 있다.
AFP의 보도에 따르면 1월 15일 통가의 훙가 통가-훙가-하파이 화산 폭발로 인해 일어난 쓰나미가 일본에서 미국 서부까지 이르는 태평양 해안 지역에 덮쳐 홍수가 발생했다.
같은 영상이 유사한 주장과 함께 페이스북 여기와 여기; 네이버 블로그에도 공유됐다.
하지만 이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구글 역 이미지 검색과 키워드 검색을 통해 동일한 영상이 2019년 12월 19일 뉴질랜드 오클랜드 전쟁 기념박물관의 유튜브에 게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오클랜드 박물관 화산 시뮬레이션"이라는 제목의 이 영상에는 "화산 폭발로 인해 발생한 지진을 재현한 교육용 시뮬레이션"이라는 설명이 붙었다.
다음은 페이스북에 공유된 영상(좌)와 오클랜드 전쟁 기념박물관이 게시한 원본 영상(우)을 비교한 것이다.
해당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작한 뉴질랜드 홍보대행사 브랜드스팽크(Brandspank)는 동일한 영상을 2011년 10월 2일 동영상 공유 플랫폼 비메오(Vimeo)에도 게시했다.
비메오에 게시된 영상에는 "이 장면은 특수 제작된 오클랜드 라운지 방 세트의 창문에서 보일만한 전망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제작됐다. 최첨단 3D 기술과 입자 효과를 배경과 결합해 재난을 현실적으로 표현했다"라는 설명이 붙었다.
이 영상은 2019년 12월 뉴질랜드 화이트섬에서 발생한 화산 폭발을 촬영한 것이라는 주장과 함께 소셜미디어상에서 공유됐는데, AFP는 취재를 통해 이 주장이 사실이 아님을 보도한 바 있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