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탄핵 시위 사진, 트럼프 관세 발표 반응으로 둔갑
- 입력 월요일 2025/08/11 05:57
- 2 분 읽기
- SHIM Kyu-Seok, AFP 한국
저작권 © AFP 2017-2025. 구독 없이 저작물을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 주장은 2025년 8월 7일 페이스북에 공유됐다.
게시글에는 두 장이 사진이 공유됐는데, 상단에는 "관세 0% 반응"이라는 설명이 붙은 시위 장면이, 하단에는 "관세 15% 반응, 좌좀 수준"이라는 문구가 입혀진 환호하는 군중 사진이 배치됐다.
문제 주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7월 30일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 당초 예고됐던 25%보다 낮은 1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뒤 온라인상에 퍼졌다 (아카이브 링크).
다수의 여론조사의 따르면 상당수 국민은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한 이 대통령의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아카이브 링크).

동일한 이미지가 페이스북과 스레드 그리고 극우 성향 커뮤니티 일간베스트 등에도 비슷한 주장과 공유됐다.
게시글에는 "좌좀들이 골비었다고 말하는 이유", "저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는 거냐?"라는 댓글들이 달렸다.
그러나 "관세 15% 반응"이라는 설명과 함께 공유된 하단의 사진은 최근 한미 관세 협상과는 무관하다.
2016년 탄핵 시위
구글 역 이미지 검색을 통해 환호하는 군중 사진은 한국경제신문의 2016년 12월 10일 자 보도에 실린 것으로, 한미 관세협상보다 수년전에 열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시위 현장에서 촬영됐다 (아카이브 링크 여기, 여기).
사진에는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시위하던 시민들이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는 소식에 환호하고 있다"라는 설명이 붙었다.

별도의 역 이미지 검색을 통해 상단의 사진은 2007년 1월 16일 진보 성향 온라인 매체 뉴스참 보도에 실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카이브 링크).
사진에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반대하는 시위대의 모습이라는 설명이 적혀있다 (아카이브 링크).
한미 FTA는 그해 말에 체결됐는데, 당시 반대 측은 값싼 미국산 농산물의 유입으로 국내 농가 생계가 위협받을 것이라는 우려를 내비쳤다 (아카이브 링크).
이재명 대통령은 온라인에서 자주 허위 정보의 표적이 된 적이 있으며 AFP는 이를 여러 차례 검증한 바 있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