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 대통령실 공식 사진 중 대부분 중심인물로 등장
저작권 © AFP 2017-2025. 구독 없이 저작물을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의 사진들은 "난이도 상. 숨은 대통령 남편 찾기 [...] 완전 꼭꼭 숨었어요. 이렇게 찍고 대통령실 로고 넣어 공개하는것도 빡쳐요"라는 글귀와 함께 2023년 4월 22일 인스티즈에 공유됐다.
게시글에는 김 여사를 중심으로 촬영된 네 장의 사진이 공유됐는데, 사진 속에는 윤 대통령의 모습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과거에도 김 여사 관련 허위 주장들이 온라인상에서 반복적으로 공유됐는데, AFP는 취재를 통해 이 주장들이 사실이 아님을 밝힌 바 있다. 해당 기사는 여기, 여기, 여기에서 확인 가능하다 (아카이브 링크 여기, 여기, 여기).

동일한 주장이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그리고 이토랜드에도 공유됐다.
하지만 게시글에 공유된 사진들은 김 여사에 초점이 맞춰진 사진들을 선택적으로 공유한 것으로, 대통령실이 공개한 사진 대부분에는 윤 대통령이 중심인물로 등장한다.
루브르 아부다비 사진
구글 역 이미지 검색을 통해 김 여사가 예술 작품을 바라보고 있는 사진은 대통령실이 2023년 1월 16일 공개한 사진첩에 포함된 13장의 사진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카이브 링크).
사진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 위치한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의 별관 ‘루브르 아부다비’를 방문해 소장 미술품을 관람하고 있다"라는 설명이 붙었다.
하지만 김 여사는 13장의 사진 중 두 장에서만 중심인물로 등장하며, 나머지 11장에는 윤 대통령 부부가 함께 서 있는 모습이 담기거나 윤 대통령이 단독으로 등장한다.

천안함 용사 헌화 사진
김 여사가 선글라스를 착용한 인물과 악수를 나누는 모습을 담은 사진은은 대통령실이 2023년 3월월 24일 공개한 사진첩에 포함된 15장의 사진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카이브 링크).
사진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4일 대전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천안함 46용사 묘역을 살펴보고 있다"라는 설명이 붙었다.
사진첩에 등장하는 15장의 사진 중 4장만 김 여사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나머지 11장의 사진에는 윤 대통령의 모습이 등장한다.

스위스 동포 만찬 간담회
김 여사가 붉은색 옷을 입은 여성과 악수를 나누는 모습은 대통령실이 2023년 1월 17일 공개한 사진첩에 포함된 21장의 사진 중 하나다 (아카이브 링크).
사진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7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축하공연단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라는 설명이 붙었다.
대통령실이 공개한 17장의 사진 중 4장에만 김 여사가 단독으로 등장하며, 나머지 사진에는 윤 대통령이 단독으로 촬영됐거나 부부가 함께 등장한다.

해군사관생도 졸업식
해군 장교와 악수를 하는 김 여사의 모습이 담긴 사진은 대통령실이 2023년 3월 10일 공개한 사진첩에 포함된 25장의 사진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아카이브 링크).
사진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0일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해군사관학교에서 열린 제77기 졸업 및 임관식에서 신임 장교들의 분열을 지켜보고 있다"라는 설명이 붙었다.
25장의 사진 중 두 장의 사진에는 김 여사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12장의 사진에는 윤 대통령이 단독으로 등장하며, 나머지 사진들은 부부가 함께 촬영된 것들이다.

팩트체크 신청하기
문의